지난 2월 20일 베이징 동계올림픽이 막을 내렸다. 중국은 이번 올림픽의 개·폐막식을 야심차게 준비했다. G2국가로서 전 세계에 ‘선진화된 글로벌 국가’ 이미지를 각인시키기 위함이었다. 하지만 알맹이는 그렇지 못했다. 노골적인 편파 판정, 러시아 선수의 약물 논란에도 출전을 제지시키지 않는 등 논란이 잇따랐다. 올림픽이 ‘중국 체전’이냐는 비판이 나온 이유다.
“스포츠에 의한 인간의 완성, 경기를 통한 국제평화의 증진”은 대표적인 올림픽 정신이다. 하지만 베이징 올림픽은 그 시작부터 물음표를 던졌다. 중국이 신장 위구르 자치구 내 소수민족과 홍콩 등에 대한 인권 문제에 침묵해서다. ‘인간의 완성’은 없었다. 결국 민주주의 진영 국가들은 이를 근거로 외교 사절단 보이콧을 했다.
‘국제평화의 증진’도 없었다. 무늬뿐인 평화였다. 서구 국가들의 보이콧 속에서 가장 먼저 올림픽 참가에 손 든 건 러시아였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개막 전 시진핑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가졌고 개막식 현장에도 참석해 ‘동맹국’을 과시했다. 그리고 올림픽이 끝난 직후 기다렸다는 듯, 러시아는 24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를 침공했다.
최근 뉴욕타임스는 “중국 정부 고위 관계자가 '베이징 올림픽이 끝날 때까지 우크라이나 침공을 늦춰 달라'고 러시아에 요구한 정황을 포착했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러시아의 침공을 알면서 묵인했다는 것이다. 사실이라면 국제 사회로부터 지탄받을 일이다. 17일간 중국이 선전한 평화 스포츠 축제도 무색해졌다.
2022 베이징 올림픽 슬로건은 ‘함께하는 미래(Together for a shared future)’다. 중국에게 미래를 ‘함께’할 대상은 러시아와 같은 약한 나라를 짓밟는 침략국인 걸까. 중국이 개·폐막식에서 내세운 글로벌 선진국으로 거듭나려면 인류 보편의 가치를 뿌리 깊게 새겨야 한다. 소수 민족, 홍콩, 북한, 우크라이나 등 인권 문제에 침묵하는 한 중국의 미래는 이번처럼 ‘위장된 평화 올림픽’에 불과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