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제목 한국계 美 하원 영 김, 공화의원 34명과 바이든 행정부에 종전선언 반대 서한
보내는분 이메일
받는분 이메일

한국계 美 하원 영 김, 공화의원 34명과 바이든 행정부에 종전선언 반대 서한

북한의 비핵화 없이는 종전선언 반대
기사입력 2021.12.09 15:54
댓글 0
  • 카카오 스토리로 보내기
  • 네이버 밴드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 플러스로 보내기
  • 기사내용 프린트
  • 기사내용 메일로 보내기
  • 기사 스크랩
  • 기사 내용 글자 크게
  • 기사 내용 글자 작게
영 김 페이스북.JPG
영 김 페이스북 캡쳐

 

한국계로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활동하고 있는 영 김 하원의원(공화당)이 공화당 소속 연방 하원의원 34명과 “북한의 비핵화 약속 없는 종전선언에 반대한다”는 공동 서한을 조 바이든 행정부에 보냈다. 


12월 7일 영 김 의원은 “나는 오늘 비핵화와 인권에 대한 김정은의 확실한 보장 없이 진행되는 섣부른 종전선언이 불러올 위험성을 알리는 서한을 바이든 행정부에 보냈다. 평화를 유지하려면 양측의 적극적인 노력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며 자신의 SNS를 통해 서한을 공개했다.


그는 서한 내용을 사진으로 첨부하면서 이를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보좌관과 앤서니 블링컨 국무장관, 성 김 대북특사에게 보냈다고 밝혔다.


서한은 서명을 포함한 5장 분량으로 영 김 의원과 미국 연방하원의회 간사인 마이클 매콜 의원, 미셸 스틸, 크리스 스미스, 스티브 채벗, 브라이언 배빈, 마이크 갤러허, 캣 캠먹, 빌 존슨, 클로디아 테니, 루이 고머트, 마이클 월츠, 니콜 말리오태키스, 브라이언 피츠패트릭, 빌 휘젠거, 브래드 웬스트럽, 글렌 톰슨, 대럴 이사, 댄 뮤저, 버기스 오웬스, 팀 버체트, 줄리아 테틀로, 다이애나 하시버거, 애드리안 스미스, 마크 그린, 애슐리 힌슨, 앤드루 가버리노, 앤디 바, 보브 래터, 스티브 워맥, 더그 램본, 제프 던컨, 켄 캘버트, 마리아넷 밀러-믹스, 피터 메이저 의원이 참여했다.

 

빌 존슨 리트윗.JPG
빌 존슨 오하이오주 공화당 하원의원이 관련 기사를 공유하며 리트윗했다.

 

이들은 서한에서 "종전선언은 평화를 촉진시키는 것이 아니라 한반도 안보를 심각하게 훼손시키고 불안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심각하게 우려하고 있다"며 "우리는 (종전선언)이 가지는 분명한 위험성에 대해 한국과 협력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이어 "김정은 정권은 지금까지 종전선언 추진에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미사일 발사와 핵무기 개발을 계속하면서 평화 회담에 앞서 제재 완화를 최우선해 줄 것을 거듭 밝혔다"며 "김정은 정권이 평화 협정 조건을 준수할 것을 뒷받침할 역사적 선례도 없다"고 말했다.


또 “북한은 한국, 미국, 유엔과의 구속력 있는 협정을 계속해서 위반해 왔으며, 제재를 피하기 위해 핵무기 개발과 지독한 인권유린 같은 불법 행위를 지속적으로 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종전선언은 한반도의 미군과 지역 안정에도 심각한 위험을 초래한다"며 섣부른 평화협정은 북한이 주한미군 해체와 2만8500명의 주한미군 철수, 연례 한미연합훈련의 영구 중단을 요구하는 근거가 될 것이라고 했다.


조 바이든 행정부에는 “미국은 북한의 안보위협에 맞서 한국 및 일본과 긴밀히 협력하고, 기존의 대북 제재를 이행하기 위해 유엔 및 동맹국들과 협력하며, 북한의 엘리트들을 협상의 테이블로 끌어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평화는 말만으로는 이룰 수 없다. 이를 위해선 행동과 구속력 있는 보장이 필요하다”면서 “우리는 북한이 완전한 비핵화에 대한 잠재적 약속을 이행하고, 불법 활동을 중단하며, 인권 기록을 개선할 것이라고 믿을 수 있어야 한다”고 했다.


끝으로 “김정은 정권에 미국과 한국, 동맹국의 입장을 약화시키는 일방적인 양보를 허용하는 것은 시기상조이며, 공동의 이익에 위험하다”면서 “우리는 (바이든 행정부가) 이러한 조건이 충족될 때까지 적대행위 종식을 선언하는 요청을 거부할 것을 촉구한다”고 덧붙였다.

 

20210601165002_pamlitby.jpg
2021년 2월, 원코리아국제포럼에 연사로 참여한 영 김 의원

 

한편 서한을 주도한 영 김 의원은 한인 여성 최초의 미연방 하원의원으로 한국글로벌피스재단(GPF)이 개최한 국제 포럼 등에도 연사로 참여해 왔다. 특히 올해 2월 개최한 ‘원코리아국제포럼’에서 “바이든 정부가 북한의 인권 문제에 강력한 목소리를 내는 만큼, 이제 북핵문제 뿐 아니라 인권문제를 중심에 둔 대북정책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계 미셸 스틸 박(캘리포니아·공화당) 또한 종전선언 반대 서한에 공동 서명했다. 그는 영 김 의원과 함께 ‘원코리아국제포럼’에 참석해 바이든 행정부가 재미 교포들을 위한 북-미 이산가족 상봉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것을 촉구한 바 있다. 

<저작권자ⓒ코리안드림 & www.kdtimes.kr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회사소개 | 광고안내 | 제휴·광고문의 | 기사제보 | 정기구독신청 | 다이렉트결제 | 고객센터 | 저작권정책 | 회원약관 | 개인정보취급방침 | 이메일주소무단수집거부 | RSStop